본문 바로가기
디지털 영상 처리

빛과 EM 스펙트럼

by 23HYUN 2024. 12. 3.
728x90
반응형

 

파장과 주파수의 관계

λ = c / ν

파장 = λ (nm)

주파수 = ν, f를 사용하기도 함 (Hz)

광속 = c ( 2.998×10^8 m/s )

 

EM  스펙트럼의 에너지식

E = hw

플랭크 상수 = h

 

주파수가 높으면 파장이 짧고, 주파수가 낮으면 파장이 길다.

파장이 짧으면 에너지가 많고, 파장이 길면 에너지가 적다.

 

EM 스펙트럼의 가시대역(눈으로 볼 수 있는 영역) : 약 0.43㎛(보라)~0.79㎛(빨강)=색채광

 

객체에서 인간이 인지하는 칼라들은 그 객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.

칼라가 없는 빛을 단색(monochromatci) 또는 무색(achromatic) 빛이라고 부른다.

단색광의 유일한 속성 : 밝기 또는 양

 

그레이 레벨 : 단색 밝기를 나타냄

그레이 스케일 : 흑색에서 백색까지의 단색광의 측정 값의 범위

그레이-스케일 영상 : 단색 영상

 

주파수 외에 색채광의 특성

레이디언스(radiance) : 방사 휘도 또는 복사 휘도, 광원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총 에너지량 (와트, W)

루미넌스(luminace) : 휘도, 광원으로부터 관찰자가 인지하는 에너지량에 대한 척도 (루멘, lm)

명도(brightness) : 실제로는 측정이 불가능한 빛 인지(perception)에 관한 주관적 묘사자, 밝기의 무색 개념을 표현하며 칼라 지각(sensation)을 묘사할 때 중요한 요소

 

근적외선 : IR 대역에서 가시 스펙트럼과 가까운 부분

원적외선 : IR 대역에서 가시 스펙트럼과 먼 부분(마이크로웨이브 대역과 섞임)

 

객체를 '보기' 위해서는 필요한 EM 파의 파장이 객체보다 짧아야 한다.

 

728x90
반응형

'디지털 영상 처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영상 샘플링(Sampling) 및 양자화(Quantization)  (0) 2025.05.13
영상 감지 및 획득  (0) 2024.12.04
시각적 인지의 요소  (0) 2024.12.03